전체 글 37

외국인과 기관의 순매수(수급) 종목을 찾는 조건검색식

주식 투자에서 외국인과 기관의 수급 동향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이들의 순매수 종목을 분석하면 향후 주가 흐름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키움증권의 조건검색식을 활용하여 외국인과 기관의 순매수 종목을 찾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키움증권 조건검색식 활용법HTS 창번호 0150 조건식 검색 창에서 '순매수'라고 입력하면 외국인과 기관의 순매수와 관련된 다양한 검색 조건이 나타납니다.이번에 소개할 검색식은 '외국인/기관/개인 순매매일수'입니다.   0150 조건검색 창에서 '순매매일수' 입력한 후 아래 조건을 설정합니다.A 조건: 0봉전 10일 중 6일 외국인 순매수 발생, 최소 순매매 수량 1,000주B 조건: 0봉전 10일 중 6일 기관 순매수 발생, 최소 순매매 ..

주식 분봉 차트에 전일 고가 라인 설정하는 방법

주식 단타 매매를 할 때, 전일 고가는 중요한 기준점이 됩니다. 전일 고가를 차트에 표시하면 매매 전략을 세우는 데 유용한 참고선이 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분봉 차트에 전일 고가 라인을 설정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전일 고가 라인 만들기 (키움증권 기준)차트 위에서 오른쪽 마우스 클릭HTS 차트 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합니다.메뉴에서 수식관리자로 들어갑니다.새로운 수식 만들기'새로 만들기' 클릭수식 입력란에 아래 함수를 입력합니다.Predayhigh() 라인 설정수식을 입력한 후, '라인 설정'에서 색상과 스타일을 원하는 대로 지정합니다.예를 들어, 전일 고가를 눈에 잘 띄게 하려면 빨간색 실선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스케일 항목 설정'스케일' 항목에서 '가격'에 체크합니다...

주식 차트 설정 : 저항선과 지지선을 활용한 박스권 매매 보조지표 만들기

주식 차트에서 저항선과 지지선을 설정하는 것은 기술적 분석의 기본 중 하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120일 최고가와 일목균형표 기준선(기간 내 최고값과 최저값의 평균)을 활용하여 박스권 매매에 적합한 보조지표를 만들고, 이를 실제 매매에 적용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저항선과 지지선을 이용하면 주가의 움직임을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특히 박스권 매매 전략을 활용할 때 큰 도움이 됩니다. 이 지표를 설정하는 방법과 실전에서 활용하는 법을 차례로 살펴보겠습니다. 1. 저항선과 지지선이란?저항선(Resistance Line): 주가가 상승할 때 일정 수준에서 부딪혀 하락하는 경향이 있는 가격선지지선(Support Line): 주가가 하락할 때 일정 수준에서 반등하는 경향이 있는 가격선저항선과 지지선..

마크 미너비니 주식 투자법 : 주가 변화 4단계 매수 타이밍

시대를 초월하는 주가 변화의 원칙 : 4단계 주식 싸이클로 보는 매수 타이밍 마크 미너비니(Mark Minervini)는 미국의 유명한 주식 투자자이자 트레이딩 전략가로, 시장의 가격 변동성을 분석하여 투자 기회를 포착하는 기법으로 유명합니다. 그는 수십 년간의 실전 경험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투자 전략을 개발했으며, 특히 'SEPA(특정 매매 포인트 분석)' 기법을 통해 시장의 흐름을 읽고 최적의 매수·매도 시점을 찾는 데 주력합니다. 그의 이론은 세계적인 투자자들 사이에서 높은 신뢰를 얻고 있으며, 특히 주가 변화의 4단계 이론은 시장 분석의 필수 개념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1단계 - 무시 국면 (보합) 이 단계에서는 주가가 지속적인 상승이나 하락 없이 횡보합니다. 주가는 200일 이동평균선 근처에서..

주가와 거래량 분석 - PVI 보조지표 활용하기 (거래량 지표에 PVI겹치기 TIP)

PVI(Positive Volume Index) 보조지표 매매 전략과 활용법주식 시장에서 다양한 보조지표가 존재하지만, 거래량을 활용한 보조지표 중 하나인 PVI(Positive Volume Index, 양의 거래량 지수)는 특히 주목할 만한 지표입니다. PVI는 거래량이 증가하는 날의 주가 변동을 추적하여, 시장에서 투자자들의 움직임을 반영하는 데 유용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PVI의 개념과 이를 활용한 매매 전략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PVI(Positive Volume Index)란? PVI는 주가와 거래량의 관계를 분석하는 기술적 지표로, 거래량이 전날보다 증가한 날의 주가 변동을 반영하여 산출됩니다. 즉, 거래량이 늘어난 날만 계산에 포함되며, 거래량이 감소한 날은 PVI 값이 변하지 않습니다...